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250x250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git
- log4j2
- Regular expression
- current_date
- REACT
- migration
- JavaScript
- java
- expire_logs_days
- spring
- nodejs
- MySQL
- upgrade
- Chunk
- Effective Java
- REACTJS
- log_bin
- Express
- 정규표현식
- 퀵소트
- update
- eslint
- Webpack
- Effective Java 3/e
- regex
- Node
- mysql 5.5
- Spring Batch
- npm
- spring cloud
Archives
- Today
- Total
내 세상
[Deep Learning] Precision과 Recall, Detection의 정확도(accuracy) 본문
728x90
Precision, Recall
Recognition과 Detection 기술의 성능을 평가할 때는 검출율과 정확도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.
검출율
- recall
- 대상으로 하는 object를 놓치지 않고 잘 검출하는 지를 나타냄.
정확도
- precision
- 검출된 결과가 얼마나 정확한지를 나타냄.
- 즉, 실제 결과와 예측 결과를 비교함.
precision VS recall
- 둘을 헷갈리는 이유는 Detect라는 단어에 대해서 혼동을 하기 때문임.
- detect는 단지 알고리즘이 무언가를 검출했다는 것을 의미함.
- 검출한 결과가 실제 물체일수도, 아닐수도 있음.
- Ex) “어느 알고리즘의 성능은 recall 0.9, precision 0.7이다"
- 위와 같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어느 한 값으로만 표현하고 평가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음.
- recall과 precision은 알고리즘의 parameter 조절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값이기 때문에 어느 한 값으로 알고리즘 전체 성능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음.
- 일반적으로 recall과 precision은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짐.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조절해 검출율을 높이면 오검출(false alarms)이 증가하고, 반대로 오검출을 줄이기 위해 조건을 강화하면 검출율(recall)이 떨어진다.
- 인식 알고리즘의 성능을 제대로 비교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precision과 recall의 성능변화 전체를 살펴봐야함. 대표적인 방법으로 precision-recall graph를 이용하는 것.
Average Precision (AP)
- Precision-Recall graph는 어떤 알고리즘의 성능을 파악하기는 좋으나, 서로 다른 두 알고리즘의 성능을 정량적으로(quantitatively) 비교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음. 그래서 나온 개념이 Average Precision임.
- Average Precision은 인식 알고리즘의 성능을 하나의 값으로 표현한 것으로 precision-recall graph에서 graph 선 아래쪽의 면적으로 계산됨.
- Average precision이 높을수록 알고리즘의 성능이 전체적으로 우수하다는 의미.
728x90
'Technical > ML&D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eep Learning] EAST text detector (0) | 2019.02.15 |
---|---|
[Tensorflow] resnet50 config file error 해결 방법 (0) | 2019.02.13 |
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> 2장 신경망의 수학적 구성 요소 (0) | 2019.02.08 |
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> 8장 생성 모델을 위한 딥러닝 (0) | 2018.12.14 |